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시리얼통신
- 송수신
- platformIO
- TX
- 자동 변수
- 디지털핀
- OBD모듈
- SPI 통신
- vscode
- 공모전
- 시리얼 통신
- 아두이노우노
- OBD
- SoftwareSerial
- 아두이노
- 시리얼포트
- txrx
- 기본 문법
- RX
- 디바이스마트
- 시리얼모니터
- 양방향 통신
- Makefile
- 아두이노레오나르도
- Serial통신
- 마스터 슬레이브
- UART
- 차량통신
- can 통신
- UART통신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Makefile (2)
개발 블로그

Phony phony 라는 단어의 뜻을 보면 '가짜' 라는 뜻이 있다. 즉 가짜 target 이라는 뜻이다. 즉 target 자리에 파일 이름을 작성하지만, command 실행을 위한 이름일 뿐 실제 파일이름이 아닌 것을 Makefile 에 알려준다. Phony target 을 명시하는 이유는 두가지가 있다. 1. 같은 이름의 파일과의 충돌 피하기 2. 성능의 향상 예시를 보자. Makefile과 같은 폴더 안에 clean 이라는 파일이 있다고 가정. 1) .PHONY 가 없을 때 clean: rm *.o temp clean 을 파일로 인식한다. 그래서 최신 버전이라고 결과가 나온다. 2) .PHONY 가 있을 때 .PHONY: clean clean: rm *.o temp clean 을 명령어로 인식하고..
개발/Makefile
2022. 1. 21. 22:01

Makefile 의 기본 문법 target : dependency command 기본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. Target -> 만들 대상 Dependency -> Target 을 만드는데 필요한 대상 Command -> 필요한 명령어와 옵션 즉, command 에 적힌 명령어로 Dependency 를 사용해 target 을 만드는 것이다. 이때 주의사항은 command 앞은 tab 입력으로 시작한다. 자동 변수 자동 변수는 command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Makefile 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편리한 변수이다. 주로 사용하는 자동 변수 $@ : target 의 이름 $
개발/Makefile
2022. 1. 21. 21:58